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5B9BF1E99_1707197016962_262.jpg
주요 연구 모빌리티 혁신 대응 및 환승편의 증진을 위한 환승인프라 구축 개선방안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0.31

  • 연구 책임자

    박태윤

#환승센터 #연계환승 #모빌리티허브 #대중교통 #멀티모달 #Transfer Center #Integrated Transfer #Mobility Hub #Public Transport #Multi-modal
32.jpg
1. 연구책임자
- 박태윤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기존 수단 중심 환승센터 설계·배치 기준에서 新모빌리티를 고려한 환승인프라 구축으로의 전환을 위한 제도적 정비 필요

⊙ 기존 제도 및 기준은 승용차-대중교통(버스·철도)-친환경수단(자전거, 도보)간 물리적 연계에 초점을 두었으나 신규 모빌리티 기술 도입 및 상용화에 맞추어 기존 수단 및 신규 수단간 연계환승체계가 편리하게 구축되도록 관련 기준 정비가 필요함
⊙ 정부는 '미래형 환승센터 시범사업 공모('23)' 추진 등 미래지향적 모빌리티 허브로서 여러 모빌리티간 연계환승을 원활히 함으로써 이용객의 환승편의성을 강화하고 대중교통 중심개발(TOD)의 핵심거점으로 환승센터 기능을 고도화하고자 함

2-2. 환승센터 및 관련 시설의 설계·배치기준간 차이 및 모호성 개선 필요
⊙ 메가시티 등 도시지역 광역화로 인한 광역교통수요 증가, GTX, UAM 등 광역․간선교통수단 다양화로 수단간 연계환승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평면적이고 단순한 배치 및 연계로는 이용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됨
⊙ 환승센터 및 철도역사 계획·건설 시 활용되는 여러 지침 상 보행통로에 대한 기준이 다를 뿐 아니라 환승서비스수준 측정관련 기준이 모호하여 이용자의 환승편의 추정이 어려움

3. 연구 목적
3-1. 미래 모빌리티를 고려한 환승인프라 구축 및 설계 기준 정립을 위한 제도 개선

4. 주요 연구내용
4-1. 현행 환승센터 및 관련 시설의 제도적 설계 ․ 배치기준 조사

⊙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설계․배치기준 검토를 통한 개선 필요사항 발굴
⊙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설계지침,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등 환승센터 구축 관련 법령 및 지침 교차검토
⊙ 모빌리티 혁신기술 도입 및 상용화 시점에 부합하는 제도적 개선 필요사항 검토
⊙ 시사점 및 한계점 도출

4-2. 국내외 환승센터 사례 검토
⊙ 국내 운영 중인 (복합)환승센터 등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 검토
⊙ 국내 계획 중인 미래형 (복합)환승센터 등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체계 검토
⊙ 국외 모빌리티 허브 내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체계 검토
⊙ 시사점 및 한계점 도출

4-3.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인프라 설계 ․ 배치기준 개선사항 도출
⊙ UAM 등 수직환승 인프라 도입을 고려한 설계·배치기준 개선사항 도출
⊙ 자율주행차량 연계환승 인프라 도입을 고려한 설계·배치기준 개선사항 도출

4-4.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인프라 설계․배치기준 정립방안 제시
⊙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인프라 설계 ․ 배치기준 정립 고려사항 정립
⊙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인프라 설계 ․ 배치기준 활용 및 제도화 방안 도출

5. 연구 추진방법
5-1.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

⊙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설계․배치기준 및 관련 시설 설계 지침 등 문헌조사
⊙ 현재 운영 중인 (복합)환승센터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체계 현장조사
⊙ 현재 계획 중인 (복합)환승센터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체계 문헌조사
⊙ 국외 모빌리티 허브 내 연계환승시설 배치계획 및 동선체계 문헌조사

5-2.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 공무원 및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현 제도 문제점 및 개선사항 의견 수렴
⊙ 환승시설 설계 및 배치 기준 개선방안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

5-3. 전문가 FGI를 통한 환승인프라 설계․배치기준 개선 우선순위 도출
⊙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센터 설계 관련 개선필요 인프라 및 공간범위 정립
⊙ 모빌리티 기술부문 환승센터 설계 관련 개선필요 계획요소 도출

5-4. 모빌리티 혁신 대응 환승인프라 설계․배치기준 정립방안
⊙ 연계환승시설 설계․배치기준 개선방향 구상
⊙ 환승시설 설계 및 배치 기준 등 제도적 개선방안 마련
⊙ 환승시설 설계 및 배치 기준 등 제도적 개선방안 관련 기술적 검토 수행

6. 기대효과
6-1. 미래 모빌리티를 고려한 환승인프라 설계․배치 기준 정립으로 효율적인 인프라 연계 및 통행편의 증진

⊙ 수직-연계환승 효율성 개선으로 다수단간 환승편의 및 국민 삶의 질 증진
⊙ 효율적이고 편리한 연계환승체계 구축으로 대중교통 중심의 국가교통체계 재편 기반 확립

7. 연구기간
- 2025.1.1~2025.10.31



# 환승센터
# 연계환승
# 모빌리티허브
# 대중교통
# 멀티모달
# Transfer Center
# Integrated Transfer
# Mobility Hub
# Public Transport
# Multi-modal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부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