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북한교통물류
본 사업은 일반사업으로 정부출연금 편성시 특정목적으로 편성된 사업입니다.
-
트라세카란?
트라세카(TRACECA:Transport Corridor Europe-Caucasus-Asia)란 유럽-흑해-코카서스-카스피해-중앙아시아로 연결되는 도로, 철도, 항공노선 등을 포함하는 운송망 발전계획이다. 이것은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의 유럽 및 세계시장 진출을 촉진시켜 이들의 정치․경제적 독립을 지원한다는 취지하에 EU가 진행하는 교통개발 프로젝트이다. 트라세카 프로젝트에 의하면 향후 중앙 아시아 국가들은 단절되지 않은 철도를 통해 카스피해와 흑해를 지나 유럽과 연결되는 운송로를 확보하게 된다. 현재 트라세카의 계획대로라면 중국의 연운항에서 출발한 철도가 흑해 연안 그루지야의 포티항과 바투미항을 통과하고, 다시 서유럽까지 연결되어 과거 ‘실크로드’의 일부가 재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트라세카의 추진으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지역은 코카서스이다. 트라세카의 실현으로 그루지야,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등 코카서스 지역의 국가들이 유럽 및 아시아와 연계되고, 유라시아의 북방국가들과 남방국가들 사이의 정치적, 경제적 교차점에 위치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1995년부터 EU는 코카서스를 트라세카 회랑의 결절점으로 인식하여 집중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덕분에 이들 국가들은 새로운 ‘실크로드’ 프로젝트의 ‘조정자’라는 정치적 자본을 축적하게 되었다. EU가 트라세카를 지원하는 본질적인 목표는 냉전해체 후 모스크바가 중심이 된 구소련의 교역 및 교통체계를 해체하고 운송로를 다양화하려는데 있다. 사실상 트라세카 프로젝트는 정치․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코카서스 지역에 EU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요한 매개체라 할 수 있다. 트라세카는 러시아의 TSR 중심이 된 현재의 동․서 국제운송로 대안으로 충분한 발전 잠재력을 갖고 있다.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트라세카의 위협이 가시화되기 전에 현재 TSR이 확보한 유라시아대륙교의 위상을 확고하게 다지고, 그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할 필요성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림> 트라체카 노선망
자료: http://www.sairamtour.com 참조
트라세카의 문제점과 향후전망
러시아는 트라세카가 유럽-아시아 간 대안운송로의 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아직은 TSR을 대체할만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고 보고 있다. 일단 속도에서 가장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트라세카는 산악구간에서 평균속도가 시속 60km를 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트라세카는 기본적으로 흑해와 카스피해를 페리선으로 넘어야만 한다는 장애요인이 있다. 이 구간에서 1톤의 화물운송시 에너지소비는 철도의 약 3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경에서의 세관 업무와 복잡한 통관 절차로 인한 지체는 철도운행의 평균속도를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원칙적으로 국가 간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지만 트라세카의 경로는 여러 국가들을 통과하기 때문에 행정적 장벽을 최소화하는 것이 좀처럼 쉬운 과제가 아니다. 게다가 카자흐스탄과 중국, 아제르바이잔과 이란의 상이한 궤간 때문에 대차를 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트라세카는 스페인의 탈고(Talgo) 열차와 같은 궤간가변열차를 개발함으로써 궤간 문제를 극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여러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현재 운임경쟁력 면에서 TSR은 트라세카보다 약 1.5~2배 정도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TSR은 명실상부한 유라시아 대륙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단시일 내에 국제운송로의 효과적인 기능을 담보할 수 있는 중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또한 트라세카 및 TCR 활성화 정책이 가속화된다면 그 지위를 상실하게 될지도 모른다.
출처: 강재홍 외, 『대륙철도의 꿈』, 한국교통연구원, 2006.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