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주요 사업
2025 민자도로 사업구조 혁신 지원사업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 책임자
박지형,권혁
#민간투자사업
#민자도로
#모니터링
#사업구조 개선
#민자포럼
#PPP
#Privated Highway
#Monitoring
#Business Structure Improvement
#PPP Forum
1. 연구책임자
- 박지형 선임연구위원, 권혁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정부가 통행료를 인하한 민자고속도로 노선에 지급해야 하는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등 재정지원금 증가에 대한 선제적 대처 및 체계적 관리 필요
⊙ 2025년 사업재구조화를 통해 통행료를 인하한 노선은 수도권제1순환(‵18 인하), 천안-논산(‵19 인하), 대구-부산(‵20 인하), 서울-춘천(‵20 인하)에 이어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23 인하)가 추가되었으며, 급격한 물가 상승 등으로 보전금 증가
2-2. 재정지원금에 영향을 미치는 통행량, 재무구조 변화 등을 모니터링 및 재정지원금 검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야하나 정부의 전문인력 부족
⊙ 사업시행자가 재정지원금을 신청 시 정부가 승인하는 수동적인 구조로 정부 주도의 재정지원금 점검 및 모니터링 체계 부재
⊙ 정부의 민자고속도로 관리·감독 조직과 인력(현재 1~2인 규모)이 부족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기관의 지원이 필요함
⊙ 재정지원금의 검증업무를 넘어 지원의 적정성을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등 향후 정책 반영 필요
2-3. 민자도로 시장 동향과 정부 정책 방향을 분석하고 사업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위한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협의체 부재
⊙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로드맵」 추진, 코로나19 등으로‘민간투자 활성화’등 관련 정책이 급변*하여 건설사, 금융사 등 이해당사자 혼란 야기
* 2022년, 2023년 기획재정부 ‘민간투자 활성화’ 발표, 금리 및 물가 급등 등
3. 연구 목적
3-1. 본 사업은 민자도로 사업에서 발생하는 재정지원금 검증 및 시사점을 검토하고, 관련 지표를 선정·검토함으로써 시장 여건을 분석하고,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주무관청의 민자고속도로 사업구조 관리·감독 업무를 지원하고자 함
⊙ 통행량, 통행료와 연계되는 수입 위험에 따라 발생하는 재정지원금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주무관청의 선제적 사업구조 추적 지원
⊙ 사업구조 추적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집계·가공하여 정책개발자료로써 공유하고 장래 민자고속도로 사업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발굴
4. 주요 연구내용
4-1. 2025년 민자도로 사업 여건 변화
⊙ 민자고속도로 추진 현황
⊙ 민자도로 관련 법·제도 변화
⊙ 민자도로 관련 주요 시장 지표 변화
⊙ 시사점 도출
4-2. 통행료인하차액의 적정성 검증 및 시사점 도출
⊙ 정부가 통행료를 인하한 노선에 지급해야 하는 통행료인하차액의 적정성 검증
⊙ 통행료 인하 이후 교통량 변화 조사, 탄력도 실측을 통해 사업자별 통행료인하차액 산정방법론 재확인
⊙ 통행료인하차액 지급 시 발생하는 사업자별 재무구조 변화 등을 예측하여 재정 부담 해소 관점에서 지급 절차와 시기 등 제언
4-3. 민자고속도로 협력 네트워크 운영
⊙ 사업구조 개선 정책 추진을 위해 민·관·산·학 이해당사자를 포함하는 민자도로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
⊙ 정기 회의, 간담회, 공청회를 통해 이해당사자 의견을 수렴하고 후속 정책 발굴
⊙ 사업구조 모니터링에서 수집된 기초 데이터,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수집된 정책 및 시장 동향을 민자도로 인사이트 브리프로 발간
5. 연구 추진방법
5-1. 문헌 검토 및 통계 분석
⊙ 주요 사업구조, 교통부문 지표, 경제 변수 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 도출
⊙ 민자도로 관련 법령, 지침 개정사항을 수집하여 민자도로 사업 추진 여건 전망
5-2. (협동연구) 재무·법률부문 전문기관과의 협동연구 수행
⊙ 법률부문 전문기관은 통행료 인하 관련 각 실시협약서 조항과 문구를 해석하여 미래 분쟁 가능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억제
⊙ 재무부문 전문기관은 통행료 차액 보전금 지급으로 발생하는 사업별 수익구조 변화를 예측하여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규모의 적정성 검증
⊙ 한국교통연구원은 통행료 인하 전후 교통량 변화를 실측하여 탄력도를 산정하고 실측 탄력도를 바탕으로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산정
5-3. 민자도로 협력 네트워크 운영
⊙ 교통학회 민간투자연구회, 민자 SOC 포럼과 공동으로 협력 네트워크 구성
⊙ 운영위원회를 정기 개최하여 매년 논의 안건을 상정하고 안건 별 포럼을 반기 별로 개최하여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 민자도로 사업 구조 개선 관련 분쟁 및 이견 발생 시 전문분과위원회를 상시 개최하여 해결 방안을 논의하고 대응
6. 기대효과
6-1. 사업시행자 대상 주무관청의 협상력 강화
⊙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관련 주요 지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재정지원금 발생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검토 함으로써 주무관청의 협상력 강화
⊙ 소비자 물가 지수, 교통량 변화, 통행료 수준 등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량·정성 데이터를 축적하여 협상 과정에서의 대응 논리 개발하고 미래 정책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
6-2. 민자고속도로 대상 재정지원금 절감
⊙ 정부가 통행료 인하 노선에 지급하는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의 적정성을 점검하여 재정지원금 절감
⊙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지급의 투명성을 제고하여 민자도로 사업의 폐쇄성 타파
7. 연구기간
- 2025.1.1~2025.12.31
# 민간투자사업
# 민자도로
# 모니터링
# 사업구조 개선
# 민자포럼
# PPP
# Privated Highway
# Monitoring
# Business Structure Improvement
# PPP Forum
- 박지형 선임연구위원, 권혁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정부가 통행료를 인하한 민자고속도로 노선에 지급해야 하는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등 재정지원금 증가에 대한 선제적 대처 및 체계적 관리 필요
⊙ 2025년 사업재구조화를 통해 통행료를 인하한 노선은 수도권제1순환(‵18 인하), 천안-논산(‵19 인하), 대구-부산(‵20 인하), 서울-춘천(‵20 인하)에 이어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23 인하)가 추가되었으며, 급격한 물가 상승 등으로 보전금 증가
2-2. 재정지원금에 영향을 미치는 통행량, 재무구조 변화 등을 모니터링 및 재정지원금 검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야하나 정부의 전문인력 부족
⊙ 사업시행자가 재정지원금을 신청 시 정부가 승인하는 수동적인 구조로 정부 주도의 재정지원금 점검 및 모니터링 체계 부재
⊙ 정부의 민자고속도로 관리·감독 조직과 인력(현재 1~2인 규모)이 부족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기관의 지원이 필요함
⊙ 재정지원금의 검증업무를 넘어 지원의 적정성을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등 향후 정책 반영 필요
2-3. 민자도로 시장 동향과 정부 정책 방향을 분석하고 사업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위한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협의체 부재
⊙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로드맵」 추진, 코로나19 등으로‘민간투자 활성화’등 관련 정책이 급변*하여 건설사, 금융사 등 이해당사자 혼란 야기
* 2022년, 2023년 기획재정부 ‘민간투자 활성화’ 발표, 금리 및 물가 급등 등
3. 연구 목적
3-1. 본 사업은 민자도로 사업에서 발생하는 재정지원금 검증 및 시사점을 검토하고, 관련 지표를 선정·검토함으로써 시장 여건을 분석하고,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주무관청의 민자고속도로 사업구조 관리·감독 업무를 지원하고자 함
⊙ 통행량, 통행료와 연계되는 수입 위험에 따라 발생하는 재정지원금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주무관청의 선제적 사업구조 추적 지원
⊙ 사업구조 추적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집계·가공하여 정책개발자료로써 공유하고 장래 민자고속도로 사업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발굴
4. 주요 연구내용
4-1. 2025년 민자도로 사업 여건 변화
⊙ 민자고속도로 추진 현황
⊙ 민자도로 관련 법·제도 변화
⊙ 민자도로 관련 주요 시장 지표 변화
⊙ 시사점 도출
4-2. 통행료인하차액의 적정성 검증 및 시사점 도출
⊙ 정부가 통행료를 인하한 노선에 지급해야 하는 통행료인하차액의 적정성 검증
⊙ 통행료 인하 이후 교통량 변화 조사, 탄력도 실측을 통해 사업자별 통행료인하차액 산정방법론 재확인
⊙ 통행료인하차액 지급 시 발생하는 사업자별 재무구조 변화 등을 예측하여 재정 부담 해소 관점에서 지급 절차와 시기 등 제언
4-3. 민자고속도로 협력 네트워크 운영
⊙ 사업구조 개선 정책 추진을 위해 민·관·산·학 이해당사자를 포함하는 민자도로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
⊙ 정기 회의, 간담회, 공청회를 통해 이해당사자 의견을 수렴하고 후속 정책 발굴
⊙ 사업구조 모니터링에서 수집된 기초 데이터,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수집된 정책 및 시장 동향을 민자도로 인사이트 브리프로 발간
5. 연구 추진방법
5-1. 문헌 검토 및 통계 분석
⊙ 주요 사업구조, 교통부문 지표, 경제 변수 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 도출
⊙ 민자도로 관련 법령, 지침 개정사항을 수집하여 민자도로 사업 추진 여건 전망
5-2. (협동연구) 재무·법률부문 전문기관과의 협동연구 수행
⊙ 법률부문 전문기관은 통행료 인하 관련 각 실시협약서 조항과 문구를 해석하여 미래 분쟁 가능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억제
⊙ 재무부문 전문기관은 통행료 차액 보전금 지급으로 발생하는 사업별 수익구조 변화를 예측하여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규모의 적정성 검증
⊙ 한국교통연구원은 통행료 인하 전후 교통량 변화를 실측하여 탄력도를 산정하고 실측 탄력도를 바탕으로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산정
5-3. 민자도로 협력 네트워크 운영
⊙ 교통학회 민간투자연구회, 민자 SOC 포럼과 공동으로 협력 네트워크 구성
⊙ 운영위원회를 정기 개최하여 매년 논의 안건을 상정하고 안건 별 포럼을 반기 별로 개최하여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 민자도로 사업 구조 개선 관련 분쟁 및 이견 발생 시 전문분과위원회를 상시 개최하여 해결 방안을 논의하고 대응
6. 기대효과
6-1. 사업시행자 대상 주무관청의 협상력 강화
⊙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관련 주요 지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재정지원금 발생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검토 함으로써 주무관청의 협상력 강화
⊙ 소비자 물가 지수, 교통량 변화, 통행료 수준 등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량·정성 데이터를 축적하여 협상 과정에서의 대응 논리 개발하고 미래 정책 개발을 위한 데이터 확보
6-2. 민자고속도로 대상 재정지원금 절감
⊙ 정부가 통행료 인하 노선에 지급하는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의 적정성을 점검하여 재정지원금 절감
⊙ 통행료인하차액보전금 지급의 투명성을 제고하여 민자도로 사업의 폐쇄성 타파
7. 연구기간
- 2025.1.1~2025.12.31
# 민간투자사업
# 민자도로
# 모니터링
# 사업구조 개선
# 민자포럼
# PPP
# Privated Highway
# Monitoring
# Business Structure Improvement
# PPP Forum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