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5B9BF1E99_1707197016962_262.jpg
주요 연구 중소도시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분석을 통한 서비스 격차 완화 방안 마련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0.31

  • 연구 책임자

    장소영

#빠른배송서비스 #택배 #생활물류  #풀필먼트센터 #지역균형발전 #Quick Commerce #Parcel service #Last-mile Logistics #Fulfillment cente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34.jpg
1.연구책임자
- 장소영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관련 정책현안 및 정부시책과의 부합성

⊙ 정부는 ‘생활물류서비스법’을 제정(`21.1)을 통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생활물류서비스산업 발전과 진흥 정책 추진을 의무화(법 제3조제1항)
⊙ 또한 법 제3조 제3항을 신설(`23.4)하여 물류취약지역에 대한 생활물류서비스 증진 노력을 의무화 함으로써 지역간 생활물류서비스 격차를 완화시키기 위해 노력 중
⊙ 하지만 아직 시행초기 단계로서 구체적인 생활물류서비스 지역 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방안이 마련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
 - 국토부 정책용역으로 ‘물류취약지역 생활물류서비스 개선방안 연구’가 추진 중(`24.3~12)이나 도서․산간의 격오지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중소 지방도시를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정책 방안 마련 필요

2-2. 연구의 필요성 및 대내외 환경 및 사회적 요구에 대한 부합성
⊙ 국민 소비활동이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생활물류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유통‧물류기업의 빠른 배송 경쟁이 치열한 상황
 * 쿠팡 ‘로켓배송’, 네이버 ‘오네(O-NE)’ 등
 - 특히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새벽배송은 마트 장보기를 대체함으로서 국민 일상생활 편의에 중요한 서비스로 자리매김
 * 쿠팡 ‘로켓프레시’, 마켓컬리, 이마트 ‘쓱배송’ 등

⊙ 하지만 새벽배송을 포함한 빠른 배송 서비스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서비스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지방 중소도시 시민들은 서비스에서 소외
 * 250개 시군구 중 빠른배송서비스 불가지역은 123개 지역(49.2%) 

⊙ 쿠세권, 쓱세권과 같은 용어가 생길 만큼 빠른 배송 서비스 여부가 해당 지역의 정주여건과 거주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지역형평성 제고 및 지역균등발전 측면에서 정책적 대응방안 마련 필요
 - 젊은 세대들은 디지털 환경에 친숙함에 따라 생활물류서비스가 지역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인프라, 인력수급, 수익성 등 지역별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을 객관적인 데이터 기반으로 비교분석하고, 지역간 격차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중소도시의 생활물류서비스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함

4. 주요 연구내용
4-1. 국민 생활에서 생활물류 서비스의 중요성 및 국내외 관련 산업․정책 동향 분석

⊙ 택배서비스와 빠른배송서비스(익일배송, 새벽배송) 등 생활물류서비스의 다양화 및 범위 확대 트렌드 분석
⊙ 관련 통계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생활물류서비스의 성장 및 중요도 증가 분석
⊙ 국외 생활물류서비스 관련 정책 동향 분석
⊙ 생활물류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 중인 정부 및 지자체 정책 동향 분석

4-2.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결정 요소 및 지수화 방법론 도출
⊙ 지역의 생활물류서비스 공급결정하는 요소 도출
* 예. 물량(종사자 수입) 충분성, 인력 충원 용이성, 풀필먼트 및 택배터미널 등 시설충분성, 생활물류시설 공급 용이성, 시설과 배송지간 거리 및 시간, 수요 감소요인(추가비용 등), 지자치 지원 등
⊙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지수화 방법론 도출
 - 관련 사례 및 선행연구 분석
 * 예. 고용시장여건지수(LMCI), 지역발전지수(Regional Development Index), 지역관광발전지수 등
- 생활물류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지수화 방법론 제시

4-3. 주요 지역별 생활물류 서비스 공급여건 조사 및 지수 산출
⊙ 중소도시의 특성에 따른 분류 및 주요 지역 선정
- 인구, 산업구조, 지리적 특성 등을 고려
⊙ 지역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요소별 기초자료 조사
- 생활물류 시설현황, 서비스 시간 및 거리, 지자체 지원정책 등 객관적 데이터 수집
- 생활물류 말단에서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고, 지역 특성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서비스 공급수준을 결정하는 영업점 및 택배기사를 대상으로 정성적 평가요소(인력 충원 용이성 등)에 대한 조사 및 정량화
⊙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지수 도출 및 비교분석
- 지역간 생활물류 서비스 공급여건 격차 및 원인 분석

4-4. 중소도시 생활물류서비스 품질 제고 및 격차 완화 정책방안 도출
⊙ 정책 목표 설정 및 전략 도출
⊙중소도시 생활물류서비스 품질 제고 및 격차 완화 정책과제 도출
⊙ 정책과제별 민간․공공 등 주체별 역할․기능 정의

5. 연구 추진방법
5-1. 선행연구 및 정책사례 조사․분석

⊙ 생활물류서비스 증진 및 지역발전 관련 선행연구 고찰
⊙ 정량․정성자료에 기반한 지수화 방법 선행연구 고찰
⊙ 정책 추진 지표로서 지수를 개발하고 적용한 사례 분석

5-2. 관련 데이터 및 통계자료에 기반한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의 정량분석
⊙ 통계청, 기업 및 협회 자료, 현장조사 등 지역별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 수집
⊙ 생활물류 서비스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사회․경제적 특성 자료 수집
⊙ 생활물류서비스 공급여건 지수 도출 방법론을 적용한 정량분석
⊙ 지역간 생활물류 서비스 공급여건 격차 및 원인 분석

5-3. 중소도시의 생활물류서비스 품질 제고 및 격차 완화 방안 도출을 위한 FGI(Focus Group Interview)
⊙ 관련 업계 및 지자체,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조사시행
⊙ 중소도시 생활물류서비스 품질 만족도 저하 원인 및 개선방안 도출
⊙ 지역 형평성을 고려한 생활물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이해주체별 역할 정립 등

6. 기대효과
6-1.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지역별 생활물류 서비스 공급여건을 정량화․지수화 방법론 개발

6-2.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국민 일상생활에 필수서비스로 자리잡은 생활물류서비스의 품질 제고를 통해 국민 편의 향상 
⊙ 중소도시 생활물류서비스 품질 제고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
⊙ 국가 전반의 생활물류서비스 경쟁력 향상
⊙ 국민 수요 및 환경 변화를 반영한 정책방안 제시

7. 연구기간
- 2025.1.1~2025.10.31



# 빠른배송서비스
# 택배
# 생활물류 
# 풀필먼트센터
​​​​​​​# 지역균형발전
​​​​​​​# Quick Commerce
​​​​​​​# Parcel service
​​​​​​​# Last-mile Logistics
​​​​​​​# Fulfillment center
​​​​​​​#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물류연구본부 부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