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KOTI 교통연구원-
지하철 안내표지 현황 진단 및 개선 방안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 서울 지하철 역사 내 열차 방향 유도 안내표지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br /> ◦ 일본 지하철 안내표지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보 전달력과 직관성 향상을 위한 국내 지하철 안내표지 개선 방안 제시 및 정부 정책제도적 개선 방향 도출br /> ◦ 본 연구는 입출구 유도, 환승 안내, 노선역 안내 등 다양한 지하철 안내표지 중에서 승차를 위한 플랫폼 동선 유도 안내표지에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br /> ◦ 현장 조사 및 사례 연구 대상지로 서울특별시(1호선, 3호선, 4호선, 7호선, 9호선)와 일본 도쿄메트로 및 도에이 지하철(오에도선, 후쿠토신선, 긴자선, 한조몬선, 마루노우치선) 선정br /> 이하 원문 참조
2025.08.01연구 연구 보고서 수시연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자료집] 새정부에 바란다. 국가 교통물류정책 대토론회연구 연구 보고서 기획도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긴급차량 우선 신호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본 연구에서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의 규격 및 선행 연구고찰, 국외 사례 조사 및 분석, 국내 지자체의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 현황 조사,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운영 지자체 담당자들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국내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br /> 이하 원문 참조
2025.05.31연구 연구 보고서 수시연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코티브리프]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 방안연구 정기 간행물 코티브리프(가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KOTI Global Brief Vol.6연구 정기 간행물 브리프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5-08
[시론] 국가교통 인프라와 서비스의 AI 대전환: 데이터, 클라우드, 그리고 새로운 사고방식,[특집1] AI 시대 교통 시스템의 변화,[특집2] E2E 인공지능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의 혁신,[특집3] 데이터 비식별화를 통한 통행데이터 생태계의 혁신,[특집4] 생성형 AI와 MCP를 통한 교통․물류데이터 활용성 증진 연구 동향,[특집5] AI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 설명 가능성(XAI),[사진으로 본 교통] 계획된 도시의 나라 네덜란드에서 교통과 물류의 방향성을 찾다,[교통 Job World] 자율주행 현장에 있는 사람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플랫폼운영팀 ‘A2Z 크루’란?,[통계로 본 교통·물류] 지역별 자동차 등록대수/교통사고 외,[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 ‘2023년 도로교통사고비용’ 발표 외,[숨은 교통 찾기] 교통과 단위계(單位係),[글로벌 교통 동향] 공유 자전거는 지속 가능한가? 싱가포르 공유 자전거의 재도약,[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보행자를 위한 공간 파클렛
2025.08.20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4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업체 조사보고서
Chapter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 및 목적 3 2. 조사대상 및 규모 3 3. 조사기간 및 방법 4 4. 조사내용 5 Chapter Ⅱ. 사업운영실태 7 1. 홈페이지 운영 및 온라인 거래 9 2. 조직형태 11 3. 자본금 또는 자산평가액 12 4. 총매출액 및 거래업체 13 5. 정보화 시스템 및 화물정보망 이용 17 Chapter Ⅲ. 운송사업실태-운송업체・겸업업체 25 1. 운송거래의 계약형태 27 2. 운송료 결제방법 및 결제기간 28 3. 운송물량 확보방법 30 4. 운송차량 확보방법 31 5. 차량 활용 현황 32 6. 위수탁료(지입료) 34 7. 근속기간 35 Chapter Ⅳ. 주선사업실태-주선업체・겸업업체 37 1. 전문 주선분야 39 2. 주선거래의 계약기간 40 3. 주선료 결제방법 및 결제기간 41 4. 주선물량 확보방법 43 5. 운송차량 확보방법 44 6. 차주주선료 45 7. 업체주선료 47 Chapter Ⅴ. 운송・주선 거래경로 및 운임 49 1. 이용 거래경로 51 2. 컨테이너 운임 55 3. 카고형 화물차량 운임 56 Chapter Ⅵ. 부 록 63 2024 운송업체・운송주선업체조사 조사표 65
2025.08.13연구 일반사업 화물운송시장정보센터 발간물 발간물 조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화물운송시장 동향 2024년도 연간보고서
Chapter Ⅰ. 물동량 및 화물자동차 등록 현황 1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물동량 현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화물자동차 등록 현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8/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Chapter /span>span style="font-size:13.0pt">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Bold">span style="letter-spacing:0pt">Ⅱ/span>/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카고형 화물자동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소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 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span style="letter-spacing:-0.3pt">9/span>/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전자 및 차량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1/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진입 비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3/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거래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5/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송수입 및 지출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7/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행 및 근로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1/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Chapter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span style="letter-spacing:0pt">Ⅲ/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카고형 화물자동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중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23/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전자 및 차량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5/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진입 비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9/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거래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4/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송수입 및 지출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7/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행 및 근로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4/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Chapter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span style="letter-spacing:0pt">Ⅳ/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카고형 화물자동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대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47/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전자 및 차량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9/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진입 비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3/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거래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9/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송수입 및 지출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64/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행 및 근로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71/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7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Chapter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span style="letter-spacing:0pt">Ⅴ/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Bold">특수 운송품목 화물자동차/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pt">75/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전자 및 차량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77/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2.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진입 비용/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82/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3.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시장거래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92/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4.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송수입 및 지출 구조/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99/span>/span>/span>/span>br /> span style="line-height:140%">span style="tab-stops:right middot 382.6pt right middot 396.0pt">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5.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돋움체 Medium">운행 및 근로 특성/span>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0.3pt">108/span>/span>/span>/span>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20957" id="hwpEditorBoardContent">/div>
2025.08.12연구 일반사업 화물운송시장정보센터 발간물 발간물 조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4 교통정책 평가지표] 2022년 국가물류비 산정결과연구 일반사업 국가 교통정책 평가지표 조사사업 국가교통비용지표 산정결과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교통이슈] 통합 C-ITS 체계 구축 방향
C-ITS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을 넘어 통합 모빌리티 구현을 목표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먼저 할 일은 국가기간망 중심의 모빌리티를 디지털 모빌리티 협력형 모빌리티 통합 모빌리티 등으로 단계별 연계성을 강화하는 스마트 도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유형을 복합도시, 협력도시, 중소도시, 농어촌도시 등으로 구분하여 이에 맞는 모빌리티 모델을 수립해야 한다. https://blog.naver.com/koti10/222220420593
2021.02.04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정보마당 News 관련 News -
[교통이슈] 한국판 뉴딜의 SOC 디지털화
도로 SOC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면 자율주행 기능 확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된 레이다, 라이다, 비전센서 등 고가의 센서들에 의존하는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 형태에서 벗어나, 도로 인프라와 연계한 자율협력주행체계(CADS) 구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량과 주행제어, 운행제어, 교통운영관리, 도로 인프라와 관련된 기술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통합이 필요하다. https://blog.naver.com/koti10/222220390660
2021.02.04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정보마당 News 관련 News -
[교통이야기] 美 뉴로社, 자율주행 택배로봇 보급 확대
로봇을 활용한 비접촉형 택배 수요가 급증, 타사에 앞서 자율주행 기술을 비즈니스에 접목해 위상을 높여가고 있는 미국 뉴로(Nuro)社의 행보에 교통‧ 물류 업계가 주목 https://blog.naver.com/koti10/222207251725
2021.02.04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정보마당 News 관련 News
-
[2025년 8월호]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KOTI NEWSLETTER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2025년 8월호
알림 디지털콘텐츠 뉴스레터 2025.08.28 -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
고령자를 위한 개인교통수단 2024년 12월, 대한민국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226개 시군구 중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18곳을 관심지역으로 지정하며 지방소멸의 위기를 공식화했습니다.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국토 전반의 모빌리티 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고령자들이 이용하기 좋은 개인교통수단이 국내외에서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그 사례를 한번 알아볼까요? 1. 영광군의 e-Mobility 도로 영광군 e-Mobility 전용도로 - 안전과 활성화를 동시에 -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인교통수단(e-Mobility)을 위한 전용도로를 설치한 도시 - 모빌리티 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e-Mobility 활성화 정책 추진 - e-Mobility를 폭넓게 정의하고, 통행을 위한 전용 도로망 구축 2. 영국의 포괄적 이동성(Inclusive Mobility) 정책 목적: 교통약자(장애인 포함)의 이동권 보장 기본원칙: 도로 이용자 위계 자동차 이륜차 보행자 (취약자 우선 보호) 속도에 따른 휠체어 3단계 구분 Class 1: 무동력 보도 통행, 보행자와 같은 법을 적용 Class 2: 전동, 최대속도 6km/h 이하 보도 통행, 보행자 우선 보호 통행,인도가 없는 지역에서는 차도 통행 가능 Class 3: 전동, 최대속도 12km/h 이하 차도 통행, 차량과 같은 법을 적용,교차로에서 우회전시 낮은 속도로 인도를 통행 가능 속도위험도에 따라 휠체어 이용 규칙을 차등 적용하여, 보행자와 교통약자를 우선 보호 3. 일본의 배리어프리신법 # 배리어프리신법이란? - 장애물 없는 도시환경과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 1970년대에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을 추진 일본은 고령자의 이동권 향상을 위해 초기에는 장애인용 전동 휠체어를 활용하려 했으나, 도로환경과 사회적 인식 문제로 실패 이후 단점을 보완한 차세대 고령자 개인형 이동장치(PM)를 개발하여 서비스화 및 상용화 진행 중 현재 일본은 도로교통법 등 관련 법률을 통해 PM과 전동 보장구를 구분하며, 전동 보장구는 신체 장애인용으로 최대 속도 6km로 제한되고 보도를 통행해야 합니다. 4. 독일의 소형전기자동차 조례(eKFV) 독일은 소형전기자동차 조례(eKFV)를 통해 개인형 이동수단(PLEV)을 별도로 구분하고 관리하며, 그 외 교통수단은 일반 도로교통법 적용을 받는다고 합니다. - 전동 휠체어는 최고속도 6km/h 이하로 운행하게 되어 있고, 보조 수단으로 간주되어 보행자와 동일하게 보도 통행을 의무화 - 전동 스쿠터 등은 최고속도 20km/h까지 가능한 우리나라의 개인형 이동장치(PM)와 유사한 PLEV로 분류하여 자전거도로나 차도 이용을 원칙 현재 국내 제도는 의료용 전동 보장구의 규격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고 있으나, 영국의 사례처럼 속도나 성능에 따른 구체적인 통행 규칙까지는 마련하지 못해 현장 적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남 영광군의 e-모빌리티 전용도로 구축 사례는 주목할 만합니다. 차도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용도로를 설치함으로써 개인교통수단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정책을 추진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광군의 사례처럼 전동 보장구 수요가 높은 지역에 e-모빌리티 전용도로를확대 설치한다면, 사고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 해당 카드뉴스는 KOTI 인구소멸지역 모빌리티 브리프 Vol.1 No.1을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 브리프 자세히보기 :인구소멸지역 모빌리티 브리프 Vol.1 No.1 - KOTI 한국교통연구원
알림 디지털콘텐츠 카드뉴스 2025.08.25 -
[국무조정실] 광복 80년 홍보영상
국무조정실에서 제작한 광복 80년 홍보영상 입니다. 광복 80년을 맞이하여 제작한 「광복 80년 기념 홍보영상」을 공유드립니다.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국민 모두가 그 가치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본 영상을 널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알림 디지털콘텐츠 유튜브 2025.08.08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