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5B9BF1E99_1707197016962_262.jpg
주요 사업 2025 글로벌교통물류협력사업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 책임자

    신희철

#국제협력 #지식공유 #공적개발원조 #글로벌 교통DB #해외사업 # International Cooperation #Knowledge Shar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Global Transport DB #Overseas Projects
01_4.jpg
1.연구책임자
- 신희철 선임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정책현안

⊙ 우리나라의 국제위상 제고에 따라 교통물류부문의 국제협력수요가 증가하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음
- (국제기구 및 외국 정부의 협력 수요 증가) WB, ADB, EBRD, OECD/ITF 등 국제기구와의 공동연구, 지식공유,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 요청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유관기관 및 개발도상국 정부 기관의 협력 수요 역시 증가
- (해외교통사업의 유형 변화) 기존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에서 나아가 법․제도 개선, 민관협력사업, 사후관리와 같이 교통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요구
⊙ 이에,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을 확대하고, 국내기업의 해외시장진출 및 기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대외정책을 적극 추진 중 
- (교통 분야 공적 원조 및 개발협력 증대) 정부는 변화된 위상에 걸맞게 ODA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 중 2023년 기준 교통부문의 원조 비중(13.1%)*이 가장 높음  * 교통 13.1%, 보건 12.9%, 인도적 지원 9.8%, 교육 9.1% 순

2-2. 연구의 필요성
⊙ 본 사업을 국제협력을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정부의 국제협력정책 지원과 외국정부 및 국제기구의 개별 협력 요청 수요에 대응 필요
- 교통부문의 해외 진출 및 국제협력과 관련된 정부정책 지원 필요 
- 해외시장진출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 수집과 배포를 통한 민간의 해외 진출 지원 필요 
-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활동(국제세미나, 공동연구, 지식공유,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 수행 필요

3. 연구 목적
3-1. 정부정책 수립 및 시행 지원
⊙ 교통부문의 해외진출 및 국제협력과 관련된 정부정책 지원
- 국내외 교통ODA 정책동향 조사 및 분석
- 지역동향연구 수행 및 보고서 발간
- 중점협력국 신규 교통ODA 사업 기획 및 발굴 지원
- 교통물류부문 기술·정책 글로벌 성과확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3-2. 해외 진출지원을 위한 글로벌 교통DB구축
⊙ 해외시장진출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 수집과 배포를 통한 민간의 해외진출 지원
- 해외 교통부문의 자료 수집 및 DB화 
- 개발도상국 인적네트워크 DB 구축 
- 수집된 교통DB의 공유시스템 구축

3-3.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및 지식공유 활동
⊙ 국제기구 및 해외 연구기관과 지식교류 활동(공동연구 및 공동 세미나 등)을 통해 교통부문의 글로벌 의제를 선도하고, 교통물류 우수사례 콘텐츠를 발굴하여 지식공유 확산
- WB, 일본 JTTRI, ADB, EASTS, OECD/ITF 등과 정기 세미나/워크숍 개최 및 공동연구 의제 발굴
- WB-KOTI-ADB 도시교통계획지도자(LUTP) 프로그램 등 역량강화 연수 수행 및 지원 등

4. 주요 연구내용
4-1. 목표 및 방향 

⊙ 국제기구와의 협력 체계 공고화 및 협력기관의 다각화
- WB, ADB, OECD-ITF 등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기존 협력 체계를 유지하고, 2019년부터 시작된 EBRD와 협력체계 공고히 구축
- IDB, AIIB 등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 네트워크 다각화
⊙ 협력대상 국가의 다각화
- 동유럽, 중앙아시아, 남미 등 대상 지역의 확대를 통한 역량 국제화 모색 
- 또한 중점협력국을 중심으로 교통ODA사업 기획 및 발굴 지원을 위한 중점협력국 기획연구 수행
⊙ 글로벌 DB의 구축을 통한 지원 강화
- 국토부, KOICA 등 국내 원조기관의 기 수행사업 교통자료를 확보하여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교통부문 데이터(O/D, 네트워크, 수단 분담률 등), 사회경제 지표, 정책 동향 등 제공 
- DB공유 웹사이트를 활용한 DB 시스템 활성화 방안 모색 
- 국토부 및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글로벌 DB의 공유체계 구축 및 제공

4-2. 주요 사업내용
⊙ 정부정책 수립 및 시행 지원
- 국내외 교통 ODA 최신 정책동향 분석
- 특정지역 동향조사를 통해 교통물류부문에 대한 지역연구 보고서 발간
- 교통ODA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조사를 통해 수원국에서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교통 ODA 사업을 파악하여, 교통부문 ODA사업의 기획/발굴/심사 등을 지원
- 연구원 주도의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정부에서 진행하는 해외 공무원 연수프로그램을 지원
⊙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교통DB 구축
- 공공 및 민간의 효율적인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몽골 및 우즈베키스탄의 교통DB 자료 추가수집 및 구축
- 해외사업 추진 시 수원국 정부 및 교통 관계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DB의 시범구축을 추진
- 기수집한 글로벌 교통DB들을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기구축한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의 기능개선 추진 
⊙ 국제기구 및 해외유관기관과의 협력 및 지식공유 활동
- WB, ADB, OECD/ITF 등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국제세미나, MOU 등 연구협력 활동 추진
- LUTP 등 지식공유활동을 수행하여 수원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교통부문 우수사례 등 전파

5. 연구 추진방법
5-1. 정부정책 수립 및 시행 지원 

⊙ 국내외 교통 ODA 동향분석
- (문헌조사) 우리나라 ODA 추진계획 및 교통부문 중점협력국가 CPS 검토
- (위탁용역) 특정국가 교통물류부문 지역동향 파악을 위해 현지 전문가 활용
⊙ 교통ODA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파악
- (설문조사) 중점협력국가별 현지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통부문 협력수요 조사
- (전문가 자문) 협력수요를 기반으로 국내외 전문가 자문을 통해 우선순위 협력사업 도출
⊙ 해외 공무원 대상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교육프로그램 개발
- (문헌조사) 유관기관 교육 프로그램 사업자료 수집
- (전문가 자문) 교육컨설팅 전문가 자문 등

5-2.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DB 구축
⊙ 글로벌 교통분석용 자료 및 인적네트워크 DB 구축
- (자료수집 및 DB화) 개별 교통 ODA사업자료를 수집·정리하고, 양식에 맞춰 DB화 
- (자료수집 및 DB화) 국내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정보수집 및 DB화
⊙ 글로벌 DB 웹사이트 유지관리
- (위탁용역) 웹사이트 개발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유지관리

5-3.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및 지식공유 활동 
⊙ 기관별 협력활동
- (세미나 개최) 연례 국제기구 및 해외 연구기관 등과의 세미나 기획 및 운영
- (공동연구 발굴) 회의를 통해 글로벌 교통 의제 논의 및 공동연구 발굴
⊙ 지식공유활동
- (세미나 개최) 수원국 공무원 방원 시 방원세미나를 개최하여 교통부문 지식 공유
- (공동연수프로그램 개최) WB, ADB와 함께 LUTP(도시지도자양성프로그램)를 개최

6.기대효과
6-1. 국제사회에서의 글로벌 교통 어젠다 선도 지원

⊙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과의 국제세미나 및 공동연구 수행, 개발도상국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국제 연구교류 및 협력 강화에 기여하고, 글로벌 교통 어젠다 선도

6-2. 국제협력부문 정부정책 지원 
⊙ ODA 기획 발굴 지원을 통한 사업의 형성에 기여하고, 글로벌 교통자료의 DB화 및 공유를 통한 교통물류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7. 연구기간
- 2025.1.1~2025.12.31



# 국제협력
# 지식공유
# 공적개발원조
# 글로벌 교통DB
# 해외사업
# International Cooperation
# Knowledge Sharing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Global Transport DB
# Overseas Projects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교통기술연구본부 본부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