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카드뉴스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
2025.01.15
-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
◆ 스마트 어린이 보호구역이란?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은 기존의 어린이보호구역 관리에 인공지능 기반의 첨단 교통안전 기술과 시스템 연계 운영 기술을 적용하여 안전한 어린이 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운영개선 중심의 관리기법입니다.
최근에는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자료의 취득이 늘어나고 보편화되면서 인공지능과 접목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관련 장비의 개발도 추진되는 등 어린이보호구역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 운영사례
1. 스마트 알리미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이륜자동차, 개인형
이동장치, 자전거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충돌위험을 사전에 예측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
LG전자㈜가 개발한 시스템(Soft V2X 솔루션)으로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로 스마트폰 없이도 운영할 수 있도록 주변에 설치된 CCTV로부터 영상자료를 수집해 함께 활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어린이 통학로 여건과 차량 통행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서울시 강서구, 강원 강릉시와 세종 나성동 일대에서 시범운영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은 보행자 신호등에 부착된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
술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경고 정보를 제
공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로 횡단보도 주변에서 일어나는 보행자 사고
의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서울 등 대도시를 비롯해 여러 중소도시에서 폭넓게 설치 운영되어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 관련 기술 중 활용도가 가장 높다고 합니다.
3. 스마트 가로등
도로조명이나 보안용 가로등에 CCTV를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검지기를 부착하여 정
보를 수집하고 위험 상황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음향 및 조명 장치 등을 활용하여 맞춤형
경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
교통안전을 비롯해 생활 및 재난 안전 측면의 위험을 감지하고 필요시 전광판을 비롯해 스피커나 조명 장치 등을 활용하여 보행자와 차량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현재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은 서울 관악구와 충남 서산시의 12곳에 시범운영을 한 후, 강원 강릉시가 최종 선정되어 서비스를 운영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4. 인공지능 기반 움직이는 횡단보도
보행자가 길을 건너려고 할 때 인공지능이 이를 인지하여 해당 구역에 횡단보도와 차량 정지선을 자동으로 표출하는 방식의 보행자 감응형 횡단보도입니다.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차와 보행자를 구별하고 도로 위에 횡단보도와 정지선 등 상황에 맞는 표식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LED를 통해 표출하는 가변형 횡단보도입니다.
5. 지능형 속도 보조 장치 (Intelligent Speed Assistance, ISA)
지능형 속도 보조 장치는 GPS, 전자 지도, 도로 속도 표지판 등으로부터 얻어진 제한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주행 중인 도로에 적절한 속도 정보를 제공하고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 안내를 주거나 직접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고속도로나 도시부 도로 등 모든 도로에서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특히 어린이보호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지능형 속도 보조 장치의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어린이보호구역은 불법주행에 대한 단속뿐만 아니라 보행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안전관리가 중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은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를 서비스 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고, 불법주행에 대한 단속과 더불어 보행자의 위험 상황에 대한 경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의 전국적인 확산과 교통안전 개선효과를
위해서는 어린이의 행동 패턴과 특징을 분석하고 위험을 예측하여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해당 카드뉴스는 수시연구보고서 중 ‘스마트 어린이보호구역 도입방안 연구’을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