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6.11.30
- 저자
김주영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Page

-
우리나라는 과거 30여년 동안 지속적인 인구 증가 및 경제 성장으로 자동차보유대수 및 교통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교통시설의 공급을 우선적인 정책으로 추진하여 왔습니다. 최근 인구구조의 변화, 신 교통물류기술의 개발,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 등과 관련한 국내외 동향을 고려할 때, 교통부문의 미래 30년은 다양한 환경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교통수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변화 요인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현 시점에서 모든 환경 변화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미래 교통수요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에 대응하는 교통정책을 준비해야 합니다. 본 연구는 향후 교통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미래 환경변화 요인의 도입 및 추진정도에 따른 교통수요 변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교통수요 변화 예측결과에 대응하는 교통정책의 로드맵을 수립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미래 환경변화 요인으로는 인구감소 및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의 변화, 신 교통물류기술의 실용화, 국토 공간구조의 변화, 기후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규제 강화, 경제성장 시나리오의 변화, 카셰어링의 활성화 등 6개로 분류하고, 각 요인에 대한 미래 전망과 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습니다. 인구감소 및 고령화시대는 광역권 위주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지방도시의 인구 감소 및 고령자 통행이 증가하는 현상을 초래할 것입니다. 자율주행차량, 전기차, 그리고 카셰어링 시스템의 실용화는 교통체계의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외에 전자상거래, 재택근무, 화상회의의 활성화는 교통환경을 크게 변화시킬 것입니다. 이와 같은 미래 환경변화 요인의 영향을 종합하면, 개인 소유의 자동차등록대수의 감소, 교통수요 총량의 감소,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의 증가, 광역권 위주의 교통수요 집중 및 지방부 대중교통수요의 감소, 고령자 통행 증가 등이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교통정책 방향도 변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고령자 통행 지원, 지방도시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의 교통투자 소요재원이 확대될 것이며, 자동차등록대수의 감소, 차량기술의 발달에 따라 교통부문 세수의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발맞추어 공공부문 투자기조의 전환, 세금정책의 개편, 신 교통물류기술 실용화를 위한 투자확대, 대중교통시스템의 혁신 등을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FTD 2050 모형은 2050년을 목표로 각각의 미래 환경변화 요인의 도입 정도 및 교통수요에 대한 영향정도를 이용자가 입력함으로써, 미래 환경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교통수요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2차 연도의 연구수행을 통하여 FTD 2050 Model이 보완되고 미래 교통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교통정책의 로드맵이 구축됨으로써 국가정책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해당 보고서의 원문파일은 지식관리팀 출판담당자(044-211-3180)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