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동북아북한교통물류

본 사업은 일반사업으로 정부출연금 편성시 특정목적으로 편성된 사업입니다.

nkt_top_bg.jpg
철도 중국의 고속철도 해외진출 2010.11.02
  • 출처

    인민철도 홈페이지, <중국신문사>, <신화왕>

  • 시기

    2010


중국은 우리나라가 경부고속철도를 개통한 2004년부터 고속철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여, 현재 7천km가 넘는 고속철도를 운영하고 있는 세계 최장의 고속철도 보유국이며, 2012년까지 1.3만km로 고속철도를 건설․확장하여 세계적인 고속철도 강국이 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고속철도 해외사업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가장 큰 경쟁국가로 부상하고 있음. 이에 최근 중국의 철도 해외진출 주요사례들을 살펴봄.

 

말레이시아, 중국난처그룹과 도시간 철도 차량 매매 계약 체결

❍ 7월 23일, 중국난처(南車)그룹 산하의 주저우(株洲) 전기기관차 유한회사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말레이시아 교통부와 총 금액 40억 위안에 달하는 도시간 철도 차량 매매 계약을 체결, 이 열차들은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에서 가장 활발한 남북 도시간 노선 운영에 투입될 전망

❍ 낙찰된 주저우 전기기관차 유한회사의 도시간 철도 차량은 동력 분산형으로, 운행속도는 140km/h이고 6량의 열차로 편성하였으며 이 기술은 전기기관차, 지하철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 2011년 첫 열차의 조립을 마치고 2012년 5월까지 모든 차량의 인도가 완료될 예정

인민철도 홈페이지, 2010.7.30

 

태국, 중국과 합작하여 3개의 고속철로를 건설키로

9월7일 태국내각회의는 중국과의 3개 고속철도 구축 초안을 승인함. 이 계획에 따르면, 태국과 중국이 건설할 3개의 고속철로는 방콕에서 농카이, 방콕에서 태국-말레이시아 국경선 그리고 방콕에서 라용까지의 노선으로 분류됨.

❍ 이 중 앞서 말한 2개의 고속철도는 중국 쿤밍(昆明)에서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을 거쳐 태국의 농카이, 방콕, 태국남부 국경에서 말레이시아까지 연결되는 국제선의 일부가 될 것임.

<중국신문사> 2010.9.14

 

남아공, 중국의 철도교통기술 도입 계획

❍ 남아공 교통부 장관은 9월 7일 남아공이 중국 철도기술을 도입하여 전국철도시스템을 전면적으로 현대화할 것이라고 밝힘. 보도에 따르면 2주전 남아공과 중국은 남아공 철도 네트워크 현대화에 대한 양해각서에 정식으로 서명

❍ 남아공 교통부의 한 관계자에 의하면, 이번 양해각서의 체결은 중국이 남아공 철도의 재건과 현대화 분야에서 글로벌 전략 동반자중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함. 남아공 교통부는 이미 철도 중장기 발전계획을 제정하였으며, 20년 내 전국에 걸쳐 운행되는 철도망을 계획 중이라고 함. 또한 남아공 철도 건설 계획은 대규모로, 초기 단계에 130억 달러를 철도시스템 건설에 배정하고 있음.

- 남아공의 주요 철도 건설 프로젝트는 남아공 경제중심 ‘요하네스버그’로부터 인도양 연안의 중요 항구도시 ‘더반’, 대서양 연안의 관광명소인 ‘케이프타운’, 남아공과 짐바브웨 국경의 중요도시 ‘무시나’ 등 3개의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것임. 또한 2020년까지 남아공의 12개 중심 도시와 6개의 변경도시가 전국 철도망에 포함될 예정임.

<신화왕> 2010.9.08

 

오스트레일리아, 중국기관차 구매 협정 체결

❍ 9월1일 중국 난처그룹 산하의 쯔양치쳐(資陽汽車)유한회사는 주저우 전력기관차의 연구소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총액 1억 위안이 넘는 교류동력전달내연기관차의 구매 협정을 체결함. 이는 중국이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는 교류전동기술의 내연기관차를 최초로 수출하는 것임.

❍ 신형내연기관차를 2011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명도 있는 SCT 물류회사에게 납품할 것이며, 운송범위는 멜버른에서 애들레이드, 퍼스 그리고 멜버른에서 시드니, 시드니에서 브리즈번 등의 간선 및 지선 철로가 될 것임.

인민철도 홈페이지, 2010.9.10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