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국내 39개 지역에서 진행 중이고 26개 지역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우리의 삶을 혁신적으로 바꿀 스마트도시에 대해 알아봅시다.# 편리하고 쾌적한 삶의 실현, 스마트시티
현재와 미래의 문화·경제·사회·환경적 측면에서의 요구 반영
▼
*ICT 등의 첨단기술 기반의 도시 기능 효율화 및 경쟁력 강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
▼
“혁신적인 도시, 스마트시티”*국제전기통신연합
# 국내 스마트시티의 교통 서비스 종류를 알아볼까요?
- 자율주행 셔틀버스: 판교제로시티를 통해 테스트베드구축사업 추진 중
- 퍼스널 모빌리티: 서울, 대전, 세종 공용자전거 대여서비스 / 1인용 전기자동차
- 스마트주차 서비스: 모두의 주차장, 카카오파킹
- 스마트 가로등 서비스: 15년 부산시 해운대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
- 스마트 횡단보도 서비스: 2015년부터 부산시 구축#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 도시, 세종과 부산
2021년을 목표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담긴 미래도시 플랫폼 조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세종시 5-1 생활권
· 인공지능, 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와 교통 분야 스마트 시티
· ‘시민 행복을 높이고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도시’
- 부산 에코델타시티
· 수변공간을 활용한 ‘한국형 물 순환도시’
· 개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을 통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도시’
· 생활체감형 스마트 시티#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연구를 통해 정의한 스마트시티를 소개합니다!”
먼저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스마트시티를 정의한 단어를 한국교통연구원이 빈도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핵심단어그룹으로 스마트시티를 정의하였습니다. 앞서 분석한 스마트시티의 정의를 위한 핵심단어그룹에 따라 스마트시티는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포용력과 경쟁력이 있고 지속가능한 국민체감형 종합스마트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더 나아가서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에 대해 정의하기 위해 스마트모빌리티에 대한 주요 정의의 핵심단어를 분석하였습니다.
# 종합된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스마트 모빌리티)의 정의
첨단 ICT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전기화·통합화된 교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이용자와 운영자의 선호도(preference) 및 목표 분석에 기반한 맞춤화(customized) 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삶과 효율적인 이동을 지원하고, 신성장 모빌리티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같은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가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통체계 개념#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서비스수준을 단계별로 정의
Level
Level 0
Level 1
Level 2
Level 3
Level 4
Level 5
서비스 수준
단계 기준
인프라 구축
(Base Infra.)
개별정보화
(Individual informatization)
부분통합
(Part integration)
완전통합
(Full integration)
맞춤형 통합
(Personalized integration)
신모빌리티
통합
(Reception of new mobility)
수단 공급
개별 수단별
정보화
공공교통
수단간
정보 통합
모든 가용교통
수단간
정보 통합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체계
신모빌리티
기술 도입
정보 및 수단의 통합수준
없음
개별수단 내
공공교통
수단간
모든
교통수단간
모든
교통수단간
모든
교통수단간
기술수준
없음
기존 ITS
기술수준
빅데이터,
SI 등
빅데이터,
SI 등
빅데이터,
AI 기술 등
자율주행,
전기차 등
모빌리티 운영
고정
(Fixed)
고정
(Fixed)
고정
(Fixed)
고정
(Fixed)
가변
(Flexible)
가변
(Flexible)
이용자
편의
주체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시스템
시스템
할일
정보확인,
계획 일체
개별교통수단
정보 확인
부분통합여행
정보 계획
완전통합여행
정보 계획
완전통합여행
정보계획
(이용자는
목적지와
선호수단
정보만 제공)
완전통합여행
정보계획
(이용자는
목적지와
선호수단
정보만 제공)
사회적 편익
사회적
편익증대 기반
사회적
통행시간비용
감소 시점
공공수단
효율성 극대화
모든 수단
효율성 극대화
사회적
통행시간비용
최소화
사회적
안전/친환경성
극대화
# 스마트시티 교통체계 수립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정의한 스마트시티 교통체계]
- 시민참여형(체감형)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선정
· 시민중심의 서비스 모델 발굴
· 리빙랩 테스트를 통한 서비스 프로젝트 발굴로 시민의 삶의 질 향상
- 교통수단 및 기반인프라 제공 및 운영계획 수립
· 보행체계, 교통서비스 공간구조, 차량 인프라 등
- 스마트시티 교통데이터 통합/연계/공유 계획 수립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의 개방형 데이터 허브로 연계되어 교통모빌리티의 생성과 관리가 되어야 한다.
- 스마트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계획 수립
· 정부, 기업,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포함되는 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함
- 법 제도, 규제 지원방안 제시
· O2O 부문(자가용 카풀, 카셰어링 측면)
· 주차 부문
· 자율주행 모빌리티 부문▶스마트시티 평가를 통해 국민의 니즈, 지역의 특성, 통행의 패턴을 반영한 맞춤형 스마트시티 교통체계 설정이 가능합니다.
# 미래를 이끌어나갈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스마트한 교통체계 구축을 바랍니다.
본 콘텐츠는 “스마트시티 교통체계 구축전략 및 실행방안 연구”(한국교통연구원, 2018)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